미국주식 현황 – Fear & Greed 지수, 전고점 대비 하락률, 시가총액 TOP 20 (2025-07-07 기준)
2025년 7월 7일 기준 CNN Fear & Greed Index, S&P500·NASDAQ·다우·KOSPI 등 주요 지수의 전고점 대비 하락률, 애플·엔비디아·테슬라 등 핵심 종목 변동률, 그리고 시가총액 1~20위까지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시장 심리 분석과 투자 전략 시사점을 포함해 미국주식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세요.
CNN Fear & Greed Index 현황
CNN이 산출하는 Fear & Greed Index는 주식·채권·옵션·시장 변동성 등 7개 지표를 합산해 투자자 심리를 0~100으로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2025년 7월 7일 현재 값은 78로 Extreme Greed와 Greed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일 종가도 78로 동일하며, 1주일 전 65, 1개월 전 60, 1년 전 49와 비교하면 탐욕 강도가 꾸준히 상승해 온 점이 특징입니다. 지수가 50을 넘으면 매수 심리가 우세하다는 의미이나, 75 이상으로 높아지면 과열 구간으로 해석되어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기준 시점 | 지수 값 | 시장 심리 해석 |
현재 | 78 | 강한 탐욕 |
전일 종가 | 78 | 강한 탐욕 |
1주 전 | 65 | 탐욕 |
1개월 전 | 60 | 중립 → 탐욕 전환 |
1년 전 | 49 | 중립 |
주가지수 전고점 대비 하락률
미국 대표 3대 지수는 전고점과 비교해 모두 1% 미만의 조정폭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 수준에서 횡보 중입니다. 반면 KOSPI는 3,059.47pt로 전고점 대비 7.74% 하락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위험 선호가 이어지더라도 국가·업종별로 온도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지수 | 현재가 | 전고점 | 하락률 |
S&P 500 | 6,279.35 | 6,284.65 | -0.08% |
NASDAQ | 20,601.10 | 20,624.51 | -0.11% |
DOW | 44,828.53 | 45,073.63 | -0.54% |
KOSPI | 3,059.47 | 3,316.08 | -7.74% |
주요 종목별 전고점 대비 하락률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는 전고점 대비 각각 1.02%, 0.38% 하락에 불과해 강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테슬라는 35.45% 조정폭을 기록해 변동성을 재확인시켰습니다. 초격차 AI 반도체 수혜주와 전통적인 빅테크 간에서도 온도차가 엿보이며, 고평가 논쟁이 있는 종목일수록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큰 편입니다.
종목(Ticker) | 현재가 | 전고점 | 하락률 |
Apple (AAPL) | $213.55 | $260.10 | -17.90% |
NVIDIA (NVDA) | $159.34 | $160.98 | -1.02% |
Tesla (TSLA) | $315.35 | $488.54 | -35.45% |
Microsoft (MSFT) | $498.84 | $500.76 | -0.38% |
Alphabet (GOOG) | $180.55 | $208.70 | -13.49% |
Amazon (AMZN) | $223.41 | $242.52 | -7.88% |
Exxon Mobil (XOM) | $112.20 | $126.34 | -11.19% |
SOXX (ETF) | $243.34 | $267.24 | -8.94% |
SCHD (ETF) | $27.35 | $29.72 | -7.97% |
QYLD (ETF) | $16.75 | $18.89 | -11.33% |
JEPI (ETF) | $56.96 | $60.99 | -6.61% |
LABU (ETF) | $61.54 | $4,643.00 | -98.67% |
AT&T (T) | $28.36 | $45.24 | -37.31% |
Meta (META) | $719.01 | $747.90 | -3.86% |
JEPQ (ETF) | $54.16 | $58.54 | -7.48% |
전 세계 시가총액 순위 TOP 20
시가총액 1위부터 6위까지는 미국 빅테크와 AI 반도체 선두주가 독식하고 있습니다. 7위는 사우디 아람코가 유일한 중동 기업으로 포진해 에너지 자원의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고, 아시아 기업으로는 TSMC가 9위, 텐센트가 17위에 올라 지역 다변화를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기술·소프트웨어·반도체 기업이 상위권을 형성하며 4차 산업혁명 흐름을 반영합니다.
순위 | 기업명(티커) | 시가총액 | 현재가 |
1 | NVIDIA (NVDA) | $3.885 T | $159.34 |
2 | Microsoft (MSFT) | $3.707 T | $498.84 |
3 | Apple (AAPL) | $3.189 T | $213.55 |
4 | Amazon (AMZN) | $2.371 T | $223.41 |
5 | Alphabet (GOOG) | $2.184 T | $180.55 |
6 | Meta (META) | $1.807 T | $719.01 |
7 | Saudi Aramco (2222.SR) | $1.617 T | $6.69 |
8 | Broadcom (AVGO) | $1.294 T | $275.18 |
9 | TSMC (TSM) | $1.217 T | $234.80 |
10 | Berkshire Hathaway (BRK-B) | $1.046 T | $485.00 |
11 | Tesla (TSLA) | $1.015 T | $315.35 |
12 | JPMorgan Chase (JPM) | $822.61 B | $296.00 |
13 | Walmart (WMT) | $784.95 B | $98.36 |
14 | Visa (V) | $701.03 B | $358.86 |
15 | Eli Lilly (LLY) | $700.83 B | $780.67 |
16 | Oracle (ORCL) | $666.59 B | $237.32 |
17 | Tencent (TCEHY) | $579.31 B | $63.57 |
18 | Netflix (NFLX) | $552.04 B | $1,297.00 |
19 | Mastercard (MA) | $516.91 B | $569.24 |
20 | Exxon Mobil (XOM) | $483.54 B | $112.20 |
시장 심리 해석과 투자 전략 시사점
현재 78 수준의 Greed Index는 단기 과열을 경고하지만, S&P500 ·NASDAQ의 하락률이 1% 미만에 머물 정도로 추세가 강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AI 반도체, 클라우드, 고배당 ETF 등은 현금흐름이 뒷받침되며 변동성 방어에 유리합니다. 다만 테슬라처럼 성장 기대감에 프리미엄이 높았던 종목은 30% 이상 조정이 지속될 수 있어 분할 매입 전략이 요구됩니다. KOSPI와 에너지·배당주 비중을 높여 포트폴리오 위험을 완충하고, 기술주 비중은 수익 실현과 눌림목 매수 병행이 바람직합니다.
전략 포인트 | 요약 |
과열 경계 | Greed Index 75 이상 →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
핵심 수혜주 | AI 반도체·클라우드 강세 지속, 눌림목 매수 고려 |
위험 완충 | 배당 ETF·에너지주로 방어, 지역 분산 투자 |
결론 및 향후 전망
미국 주식시장은 초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며 투자 심리는 탐욕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그러나 과거 사례상 Greed Index가 80에 근접할 때 단기 조정이 빈번했으므로, 실적 시즌 전후로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AI·반도체·의료 바이오의 구조적 성장과 고배당 ETF의 안정적 현금흐름이 주식 매력도를 지지할 전망입니다. 현금 비중과 분할 매수·매도 계획을 병행해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핵심 지표 | 의미 |
Greed Index 78 | 과열 단계 → 변동성 주의 |
S&P500 하락률 -0.08% | 추세 견고, 신고가 박스권 |
KOSPI 하락률 -7.74% | 글로벌 대비 약세 → 역발상 기회 |
자주 묻는 질문(FAQ)
Q1) Fear & Greed Index는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
A1) 지수가 25 이하면 공포, 75 이상이면 탐욕 국면을 의미합니다. 공포 구간은 저점 매수, 탐욕 구간은 분할 매도·현금 비중 확대를 고려하는 참고 지표로 활용하세요.
Q2) 전고점 대비 하락률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2) (현재가 ÷ 전고점 – 1) × 100으로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은 213.55 ÷ 260.10 – 1 = -0.179 → -17.9%로 표시됩니다.
Q3) 시가총액 순위는 얼마나 자주 변하나요?
A3) 기업 주가가 실시간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시가총액 순위는 거래 시간 중에도 수시로 바뀝니다. 다만 분기 실적 발표나 빅테크 이벤트가 있을 때 순위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Q4) 지수와 종목 하락률이 모두 낮으면 추가 상승 여력이 큰가요?
A4) 하락률이 낮다는 것은 이미 전고점 수준이라는 뜻이므로 상승 여력보다는 조정 위험도 함께 존재합니다. 실적 성장, 밸류에이션, 금리 전망을 함께 검토해야 안전합니다.
Q5) 변동성이 커질 때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A5) 현금 및 단기채 ETF로 일부 자금을 옮겨 방어력을 높이고, 조정 기간에 우량주를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권장됩니다. 레버리지 제품은 손실 폭이 확대될 수 있어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