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현황 2025: Fear & Greed 지수부터 시가총액 TOP20까지 한눈에

2025년 7월 8일 기준 미국증시 동향을 집중 분석합니다. CNN Fear & Greed Index 변화, S&P500·나스닥·다우·코스피 전고점 대비 하락률, 애플 · 엔비디아 등 핵심 종목 조정폭, 시가총액 상위 20개 기업 현황, 그리고 투자 심리를 고려한 전략까지 종합 정리해 드리니 미국주식 흐름을 빠르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CNN FEAR & GREED INDEX 동향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수치화한 CNN Fear & Greed Index는 투자 판단의 중요한 참고 자료입니다. 2025년 7월 8일 현재 값은 75 포인트로 ‘Greed(탐욕)’ 구간에 머물며, 지난주보다 위험 선호가 확대되었습니다. 전일 대비 소폭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낙관 심리가 우세합니다. 과거 수치를 함께 살펴보면 한 달 전 60 포인트에서 꾸준히 상승했음을 알 수 있어, 단기 과열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측정 시점 지수 값 심리 구간
현재(2025-07-08) 75 Greed
전일 78 Extreme Greed
1주 전 65 Greed
1개월 전 60 Neutral → Greed
1년 전 49 Neutral

주요 주가지수 전고점 대비 하락률

미국 대표 지수는 여전히 사상 최고치 대비 조정을 겪고 있습니다. S&P500은 6,284.65에서 −0.87%, 나스닥종합은 20,624.51에서 −1.03%로 낙폭이 크지 않은 반면, 다우존스는 −1.48%로 비교적 깊은 조정을 보였습니다. 한국 코스피는 전고점 3,316.08에 비해 −6.38% 떨어져 글로벌 지수 가운데 낙폭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반도체·자동차 중심의 수출 의존 경제 구조가 단기 조정에 민감하게 반응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수 현재가 전고점 하락률
S&P 500 6,229.98 6,284.65 -0.87%
NASDAQ 종합 20,412.52 20,624.51 -1.03%
Dow Jones 44,406.36 45,073.63 -1.48%
KOSPI 3,104.49 3,316.08 -6.38%

주요 종목별 전고점 대비 하락률

빅테크부터 배당 ETF까지 현재 조정폭을 비교하면 종목별 위험도가 선명해집니다. 애플은 전고점 대비 −19.28%로 꺾였고, 테슬라는 −39.83%로 하락 폭이 가장 큽니다. 반면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는 2% 미만 내림세에 그쳐 AI 테마의 탄탄한 수요를 재확인시켜 줍니다. 배당형 상품 JEPI·QYLD도 7-11% 수준으로 조정받아 안정 추구 투자자의 대안으로 여전히 참고할 만합니다.

티커 현재가 전고점 하락률
AAPL $209.95 $260.09 -19.28%
NVDA $158.24 $160.98 -1.70%
TSLA $293.94 $488.54 -39.83%
MSFT $497.72 $500.76 -0.61%
GOOG $177.56 $208.70 -14.92%
AMZN $223.47 $242.52 -7.86%
META $718.35 $747.90 -3.95%
XOM $111.11 $126.34 -12.05%
SOXX $238.78 $267.24 -10.65%
SCHD $27.06 $29.72 -8.95%
QYLD $16.75 $18.88 -11.28%
JEPI $56.71 $60.99 -7.02%
LABU $58.01 $4,643.00 -98.75%
T $28.41 $45.24 -37.20%
JEPQ $54.03 $58.53 -7.69%

시가총액 상위 20선: 글로벌 기업 지형도

시가총액 1위부터 20위까지의 분포를 살펴보면, 엔비디아(3.86 조 달러)와 마이크로소프트(3.71 조 달러)가 2강 체제를 형성했고, 사우디 아람코(1.62 조 달러)가 유가 강세를 업고 에너지 대표주로 7위에 올랐습니다. 대만 TSMC와 미국 브로드컴은 반도체 수요 덕분에 9·8위로 뛰어올라 ‘반도체 대장주 시대’를 방증합니다. 금융·소비재에서는 JP모건(12위), 월마트(13위)가 안정적인 매출 성장으로 톱20에 포진해 경기 방어주의 위력을 보여 줍니다.

순위 기업 티커 시가총액 주가
1엔비디아NVDA$3.859 T$158.24
2마이크로소프트MSFT$3.707 T$497.72
3애플AAPL$3.189 T$209.95
4아마존AMZN$2.372 T$223.47
5알파벳GOOG$2.184 T$177.56
6메타 플랫폼스META$1.807 T$718.35
7사우디 아람코2222.SR$1.617 T$6.69
8브로드컴AVGO$1.294 T$274.18
9TSMCTSM$1.188 T$229.17
10버크셔 해서웨이BRK-B$1.046 T$478.03
11테슬라TSLA$1.015 T$293.94
12JP모건 체이스JPM$822.61 B$291.97
13월마트WMT$792.85 B$99.35
14비자V$701.03 B$356.64
15일라이 릴리LLY$693.83 B$772.87
16오라클ORCL$666.59 B$232.26
17텐센트TCEHY$579.59 B$63.86
18넷플릭스NFLX$552.04 B$1,290.00
19마스터카드MA$516.91 B$565.12
20엑슨모빌XOM$483.54 B$111.11

시장 심리 해석과 투자 전략 제안

현재 ‘Greed’ 단계에서는 단기 랠리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나, 하락 폭이 컸던 성장주 중심으로 이익 실현 매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반면 방어주·배당주·현금흐름 안정 ETF는 상대적으로 하락 여지가 제한적입니다. 지수 조정률이 작더라도 개별 종목 변동 폭이 커지므로, 분산 투자와 손절 라인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연준 통화정책 발언 등 이벤트 리스크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심리지표 현재 상태 투자 포인트
Fear & Greed Index Greed (75) 부분 차익 실현, 고점 경계
지수 하락률 0.9 ~ 1.5% 조정 레버리지·선물 과도 사용 자제
개별 종목 변동성 최대 −40% 종목별 손절 기준 명확화
배당 ETF 조정폭 −7 ~ −11% 현금흐름 확보 목적 분할 매수

자주 묻는 질문(FAQ)

Q1) Fear & Greed Index 수치는 매일 몇 시에 업데이트되나요?

A1) CNN은 보통 뉴욕장 마감 이후인 한국 시간 새벽 6시경 지수를 갱신하므로, 국내 투자자는 아침에 확인하시면 가장 최신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Q2)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작아도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지수는 시가총액 가중 방식이라 대형주 강세에 왜곡될 수 있습니다. 소형·중형주의 동반 하락이 지수에 반영되지 않으면 체감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Q3) 시가총액 상위주에만 투자해도 안전할까요?

A3) 상위주는 유동성과 정보 투명성이 높지만, 성장 동력이 둔화되면 조정 폭도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업종 분산과 매수 평균단가 관리가 중요합니다.

Q4) 배당 ETF의 낙폭이 성장주보다 작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4) 배당 ETF는 현금흐름이 견고한 기업 비중이 높아 경기 둔화 국면에서도 방어력이 뛰어납니다. 다만 고배당 전략의 경우 금리 방향성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Q5) Greed 구간에서 신규 진입하려면 어떤 전략이 적절한가요?

A5) 전체 자금 중 일부만 분할 진입해 변동성 완충에 대비하고, 경기 방어주·현금 비중을 함께 유지해 하락장 회피 여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