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현황: Fear & Greed 지수부터 시가총액 TOP20까지 한눈에 파악하기

미국 증시를 읽는 핵심 지표인 CNN Fear & Greed Index, S&P500·NASDAQ 등 주요 주가지수 전고점 대비 하락률, 애플·엔비디아·테슬라 등 대형주의 주가 변동, 시가총액 1 ~ 20위 글로벌 기업 순위, 투자심리 해석, 자주 묻는 질문까지 상세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CNN Fear & Greed Index


CNN이 집계하는 Fear & Greed Index는 뉴욕 증시 전반의 투자심리를 0에서 100까지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탐욕’(Extreme Greed)을 의미합니다. 2025년 7월 30일 기준 지수는 68로 Greed 국면에 해당합니다. 일주일 전 76에서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위험선호 심리가 우세합니다. 특히 시장 주도주인 엔비디아와 메타플랫폼스가 강세를 이어가면서 투자자들이 조정 가능성을 인지하면서도 위험자산 선호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지수는 변동성이 큰 구간에서 투자자들이 공포에 매몰되지 않고 장기적인 시각을 유지할지, 혹은 단기 차익 실현에 나설지를 가늠하는 실질적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구분 수치
현재 68
이전 종가 69
1주일 전 76
1개월 전 69
1년 전 40

2. 주요 주가지수 전고점 대비 하락률

대형 지수의 고점 대비 조정폭은 시장 전반의 체력을 가늠하는 척도입니다. S&P500은 6,409.26에서 0.52% 하락한 6,376.2에 머물러 단기 조정 수준에 불과합니다. 반면 다우지수는 경기방어주 편입 비중이 높음에도 0.95% 내려 과거 고점과의 괴리가 큽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0.75% 하락했지만 반도체 랠리가 지속되는 탓에 조정 폭이 제한적입니다. 한국 코스피 지수는 3,254.47로 전고점 대비 1.86% 하락하며 미국보다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증시가 동반 상승 분위기를 유지하더라도 개별 시장별 조정 폭이 상이하므로 지역별로 분산 투자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수 현재가 전고점 하락률
S&P500 6,376.2 6,409.26 -0.52%
NASDAQ 21,143.29 21,303.96 -0.75%
DOW 44,644.43 45,073.63 -0.95%
KOSPI 3,254.47 3,316.08 -1.86%

3. 주요 미국 대형주 전고점 대비 하락률

빅테크와 에너지 메이저 종목의 고점 대비 낙폭은 개별 리스크를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애플은 전고점 대비 18.60% 떨어졌지만 서비스 부문의 마진 개선 기대가 하방을 지지합니다. 엔비디아는 AI 수혜 모멘텀 덕분에 1.79%밖에 조정받지 않았으며, 반도체 사이클이 고점을 재차 높일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우세합니다. 테슬라는 33.94% 급락했으나 로보택시, 에너지 사업 등 신성장 동력으로 반등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에너지 섹터 엑슨모빌은 배당 매력에도 불구하고 국제 유가 변동성으로 11.33% 조정받았고, 통신주 AT&T는 구조조정 비용 부담으로 39.68% 급락해 방어적 성격이 무색해졌습니다. 투자자는 종목별 펀더멘털을 재평가하며 분산을 통해 변동 위험을 관리해야 합니다.

종목 현재가 전고점 하락률
AAPL $211.73 $260.10 -18.60%
NVDA $176.17 $179.38 -1.79%
TSLA $322.75 $488.54 -33.94%
MSFT $513.71 $518.29 -0.88%
GOOG $196.58 $208.70 -5.81%
AMZN $231.44 $242.52 -4.57%
XOM $112.03 $126.34 -11.33%
SOXX $247.93 $267.24 -7.23%
SCHD $27.14 $29.72 -8.68%
QYLD $16.78 $18.88 -11.12%
JEPI $57.05 $60.99 -6.46%
LABU $64.50 $4,643.00 -98.61%
T $27.29 $45.24 -39.68%
META $704.10 $747.90 -5.86%
JEPQ $55.24 $58.54 -5.64%

4.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20위 기업 순위

시가총액은 기업 가치뿐 아니라 투자자 신뢰, 산업 트렌드, 거시경제 기대치를 종합적으로 반영합니다. 2025년 7월 현재 1위는 엔비디아로 4.30조 달러에 도달했습니다. AI 붐 속 GPU 수요가 폭증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간격을 더욱 벌렸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교체주기 장기화에도 생태계 잠금효과가 견고해 3.16조 달러로 3위를 유지합니다. 사우디아람코는 유가 변동성에도 1.62조 달러로 7위를 차지해 에너지 공룡의 면모를 재확인했습니다. 상위 20위권에는 미국 기업이 15곳, 중국·사우디·대만 기업이 각 1곳씩 포함되어 기술·소비·에너지·금융 섹터가 고르게 분포합니다. 순위 변동은 산업 전환의 속도와 기업 혁신력을 함께 시사하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순위 기업 티커 시가총액 주가
1NVIDIANVDA$4.300T$176.32
2MicrosoftMSFT$3.818T$513.74
3AppleAAPL$3.160T$211.63
4AmazonAMZN$2.456T$231.40
5Alphabet (Google)GOOG$2.375T$196.77
6Meta PlatformsMETA$1.769T$703.75
7Saudi Aramco2222.SR$1.621T$6.46
8BroadcomAVGO$1.396T$296.82
9TSMCTSM$1.258T$242.74
10TeslaTSLA$1.041T$322.89
11Berkshire HathawayBRK-B$1.027T$476.56
12JPMorgan ChaseJPM$820.00B$298.22
13WalmartWMT$786.51B$98.56
14OracleORCL$699.66B$249.10
15Eli LillyLLY$696.19B$775.50
16VisaV$688.18B$352.28
17TencentTCEHY$641.35B$70.13
18MastercardMA$509.78B$561.39
19NetflixNFLX$496.01B$1,167
20Exxon MobilXOM$483.49B$112.19

5. 투자심리 해석과 향후 시장 전망

현재 시장은 Greed 구간에 진입했지만 지수별 조정폭이 1% 안팎으로 제한적이어서 조정이 깊지 않다는 안도감이 지배적입니다. 다만 일부 빅테크와 테슬라·AT&T처럼 개별 종목별 낙폭이 커지는 분화 장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1) 반도체·AI 인프라 수혜주를 중심으로 상승 모멘텀이 이어지는지, 2) 유가와 금리 변동이 디펜시브 업종에 미칠 영향을 체크하며, 3) 여름철 거래량 감소 구간에서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특히 상장폐지 리스크가 없는 랭킹 상위주라도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지면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전고점 근접 종목은 분할 매수·분할 매도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 신호 현재 상태 투자 포인트
Fear & Greed Greed(68) 단기 과열 주의, 분할 매도 검토
지수 조정폭 -0.5% ~ -1.0% 지속 상승 동력 유지 가능
빅테크 낙폭 종목별 -1% ~ -34% 종목간 변동성 확대, 분산 필수
시가총액 집중도 상위 10종 50%↑ 섹터 분산 필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Fear & Greed Index가 70 이상이면 반드시 조정이 오나요?

A1) 70 이상은 Greed 단계로 과열 신호이지만, 즉각적인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역사적으로 70을 넘긴 후 1 ~ 3개월 내 변동성이 확대된 사례가 많으므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낮은 종목은 안전한가요?

A2) 하락률이 낮다는 것은 상대적 강세를 의미하지만, 급등 이후 고점 횡보 구간일 수도 있습니다. 실적 추세와 밸류에이션을 함께 검토해 장기 성장성이 유효한지 확인하시는 편이 안전합니다.

Q3) 시가총액이 크면 주가 변동성이 낮은가요?

A3) 일반적으로 대형주는 유동성이 풍부해 소형주보다 변동성이 작지만, 엔비디아·테슬라처럼 성장 기대가 큰 기업은 대형주라도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산업 특성과 실적 모멘텀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4) 빅테크 조정 국면에서 유망한 방어주는 무엇인가요?

A4) 배당 성향이 높고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엑슨모빌, AT&T, 코카콜라 등이 전통적 방어주로 꼽힙니다. 다만 산업별 리스크가 다르므로 경기 사이클, 금리 전망을 함께 고려해 분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지금처럼 Greed 구간에서 신규 매수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하나요?

A5) Greed 구간에서는 추격 매수 대신 단계적 분할 매수를 권장합니다. 핵심 성장주 비중을 줄이고 현금·단기채 ETF 비율을 높여 변동성 완충 장치를 마련한 뒤, 재조정 시점에 우량주를 저가 매수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주식 정보 오픈채팅방 URL :  https://open.kakao.com/o/gwg6Emnh